01 | 솔루션은 도입했지만, 설계를 어떤 방향으로 진행해야 할지 막막한 경우 |
---|---|
02 | 도입 절차가 복잡해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는 경우 |
03 | 솔루션 구매 후 빠르게 설게를 적용하고 싶은 경우 |
04 | 솔루션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지 고민되는 경우 |
- 설계 시 프로그램 적용이 어려울 때
- EPLAN을 좀더 효율적으로 활용이 필요할 때
- 설계자에 맞추어 eplan컨설턴트가 설계 방향을 지도 편달하는 방식으로 진행
지원업무(EPLAN Electric P8) |
---|
EPLAN 기본개념 이해 |
IEC 기반 심볼 및 도면(국제 표준) 적용 방법 및 구성 설명 |
도면 간 연동되는 구성 설명 |
도면 심볼과 부품 관계 설명 |
각종 데이터 구축(부품, 양식 등)으로 인한 설계 오류 감소 방법 |
구조상자를 이용한 인터록 도면 표현방법 |
내부 장치와 외부 장치 구별 및 도면 표현 방식 차이 설명 |
외부 문서(CAD, PDF 등) Interface 방법 및 유의점 |
보고서(각종 문서) 자동 출력으로 인한 휴먼에러 감소 방법 |
보고서 양식 작성을 통한 고객 맞춤 문서 제작 방법 |
외부 케이블 / 내부 배선 구별을 이용한 현장 배선 활용 방법 |
탐색기를 활용한 설계 시간 감축 방법 |
필터링을 활용한 설계자 필요 데이터 수집 방법 |
매크로 기능 및 활용 방법 |
부품과 매크로 연동으로 인한 설계 품질 상향 방법 |
도면 자동 생성 기능을 활용한 설계 시간 감축 방법(PLC) |
심볼 라이브러리 생성을 통한 고객 맞춤 도면 구축 방법 |
블록 속성을 활용한 반복적인 업무 감소 방법 |
레이어 관리를 통한 도면 표기 표준화 및 오류 감소 방법 |
도구 모음 생성으로 인한 설계자 맞춤 설계 환경 구축 방법 |
매크로 관련 및 도면 표준화 구성 방향 수립 |
설계 변수를 활용한 위치지정개체 활용 방법 |
프로젝트 확인 기능을 활용한 도면 검도 |
프로젝트 구성 및 관리 방법 |
지원업무(PRO-PANEL) |
---|
EPLAN 기본개념 이해 / IEC 기반 심볼 및 도면(국제 표준) 적용 방법 |
도면 간 연동 구성 및 심볼과 부품에 관계 설명 |
도면표현 방법 및 쉽게 작성하는 방법 |
각종 데이터 구축(부품, 양식 등)으로 인한 설계 오류 감소 방법 |
구조상자를 이용한 인터록 도면 표현방법 및 내/외부 장치 표현 |
탐색기와 필터링을 활용한 설계시간 감축 방법 |
매크로 작성 방법 및 부품데이터 연동 방법 |
심볼 라이브러리 생성을 통한 고객 맞춤 도면 구축 방법 |
블록 속성을 활용한 반복적인 업무 감소 방법 |
레이어 관리를 통한 도면 표기 표준화 및 오류 감소 방법 |
보고서 양식 작성을 통한 고객 맞춤 문서 제작 방법 |
프로젝트 구성 및 관리 방법 |
EPLAN P8과 PRO-PANEL에 개념 차이 및 기능 차이 |
3D 환경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 방법(이동, 회전 등) |
3D 판넬 정의 및 배치하기 / 속판 정의 및 속판 배치 하기 |
3D 덕트, 레일 배치 하기(배치 옵션, 길이 산정 등) |
3D 부품 배치하기 / 배치도와 회로도 연동 하기 |
자재간 간섭 체크 및 부착 옵션 알아보기 |
회로도에 접속 선정(색상/단면적 등) 및 와이어 자동 루팅하기 |
루팅 길이 변경 및 용적률, 덕트 경로 임의 설정 하기 |
3D배치 된 판넬 2D로 변경하기 / NC 데이터 출력하기 |
3D 매크로 만들기(부품 접속점 위치 및 방향 정의) |
3D 부품 만들기(NC 데이터 입력, 부착 간격 입력 등) |
PRO-PANE 결과물을 통한 배선지시서 EXCEL 출력 하기 |
지원업무(Harness ProD) |
---|
EPLAN 기본개념 이해 / IEC 기반 심볼 및 도면(국제 표준) 적용 방법 |
도면 간 연동 구성 및 심볼과 부품에 관계 설명 |
도면표현 방법 및 쉽게 작성하는 방법 |
각종 데이터 구축(부품, 양식 등)으로 인한 설계 오류 감소 방법 |
구조상자를 이용한 인터록 도면 표현방법 및 내/외부 장치 표현 |
탐색기와 필터링을 활용한 설계시간 감축 방법 |
매크로 작성 방법 및 부품데이터 연동 방법 |
심볼 라이브러리 생성을 통한 고객 맞춤 도면 구축 방법 |
블록 속성을 활용한 반복적인 업무 감소 방법 |
레이어 관리를 통한 도면 표기 표준화 및 오류 감소 방법 |
보고서 양식 작성을 통한 고객 맞춤 문서 제작 방법 |
프로젝트 구성 및 관리 방법 |
EPLAN P8과 Harness ProD에 개념 차이 및 기능 차이 |
Library(자재 생성)와 Studio(하네스 설계) Tool이해하기 |
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 이해하기 |
프로젝트 만들기 / 프로젝트 구성하기 |
2D or 3D 하네스 설계 하기(커넥터,와이어,번들 등 ) |
와이어 자동/수동 루팅 및 루팅 변경 하기 |
3D 모델 가져오기 |
P8도면과 연동하여 하네스 배치하기 |
커넥터, 번들, 와이어, 케이블 타이 등 배치하기 |
하네스 보고서 생성하기(Nailboard,Wire List, Surface Protection table) |
템플릿, 제작문서 구성 편집하기 |
와이어, 커넥터, 케이블 등 자재 구성하기 |
3D 부품데이터 및 2D 그래픽 구성하기 |
Harness ProD와 Electric P8 부품데이터 연동 |
- 주요 사양 데이터화 및 모듈화 설계를 원할 때
- 설계 협업,설계자 UI, 매뉴얼 등 구축이 필요 할 때
- 도면 구조 확립,작성 방향,관리 방향 등의 회사 표준 구축을 원할 때
- 반복적인 업무의 설계 리드타임 감소를 원할 때
- 사양 선택에 따라 도면이 변경 되는 부분이 맞추어 자동 생성되길 원할 때
- EEC-One/Cogineer를 활용한 설계 자동화 시스템을 구성 하고자 할 때
- CAD로 그린 도면을 PLAN으로 제출해야 할 때
- EPLAN사용 전 기존 데이터를 EPLAN화 하고자 할 때